-
‘장감성’은 옛말?… 절반이 “성결교 3대 교단 아니다”교단·단체 2022. 5. 20. 14:14
지난해 5월 기성 제115년차 총회가 진행되던 모습 ©기성 기독교대한성결교회(총회장 지형은 목사) 소속 목사와 장로 절반이 성결교단이 더 이상 3대 교단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이는 총회가 미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리얼미터에 의뢰, 지난 3일부터 10일까지 총회 소속 목사·장로 각 500명씩 모두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총회는 19일 기자회견을 갖고 이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51.9%가 ‘성결교단이 더 이상 3대 교단이 아니’라고 답했다. ‘3대 교단에 포함된다’는 응답은 43.3%였다. 국내 3대 교단은 전통적으로 장로교와 감리교, 성결교를 뜻했다. 그 앞글자를 따 ‘장감성’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목사와 장로의 응답을 구분해서 보면, 목사의 경우 30.0%만이 ‘성결교회가 3대 교단에 포함된다’고 답했고, 65.8%는 ‘그렇지 않다’고 응답했다. 반면, 장로들의 경우 ‘성결교회가 3대 교단에 포함된다’는 응답이 56.6%로 과반이었고, ‘그렇지 않다’는 38.0%여서 목사들의 응답과 차이를 보였다.
또 총대의 경우 ‘3대 교단에 포함된다’는 응답이 38.6%에 그쳤으나, 총대가 아닌 응답자는 44.9%가 ‘3대 교단에 포함된다’고 답했다.
연령대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그렇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아져 70대 이상의 경우 ‘3대 교단 포함’응답이 60.0%였다. 반면 30~40대 응답자들에서는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67.7%에 달했다.
3대 교단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응답자 567명 중 47.1%는 ‘교회와 교인 수 축소’를 그 이유로 꼽았다. 이어 44.4%가 ‘성결교단의 영향력 축소’, 41.3%는 ‘성결교단의 낮아진 위상’이라고 응답했다. ‘성결교단 신앙 정체성이 퇴색했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33.7%, ‘타 교단의 교세와 위상 확대’라고 답한 사람은 30.5%였다.
또 ‘유명한 대형교회가 부족하다’(13.1%), ‘유력 인사가 부족하다’(11.6%)라고 답한 이들도 있었다.
반면 여전히 성결교단이 ‘장감성’에 포함된다는 응답자 433명에 대해 그 이유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73.0%가 ‘성결교회의 뿌리 깊은 역사와 전통’이라고 답했다. 이어 ‘한국교회 연합기관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역할’ 때문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37.0%, ‘교단의 규모와 교세’가 33.5%, ‘성결교회의 사회적 영향력’이 33.3%였다.
'교단·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독학교 자율성 위기… 자녀들 위해 울며 기도하자” (0) 2022.05.23 “반복음적 사상 배격하고 성경적 복음주의 가치 실현” (0) 2022.05.23 김삼환 목사가 장(長)… ‘갈릴리 형제회’ 모임 가져 (0) 2022.05.20 침신대·서울한영대·서울기독대, 재정지원제한대학 명단 포함 (0) 2022.05.20 총신대 이사회, 이사 증원안 결론 못 내리고 또 유보 (0) 2022.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