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30 MZ세대 종교인 중 개신교가 거의 60%교단·단체 2023. 9. 15. 17:39
©목회데이터연구소 한국교회 내 ‘다음 세대 위기론’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젊은 세대가 점점 교회를 떠나고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는데, 국내 주요 타종교와 비교했을 땐 젊은 세대에서 개신교인이 가장 많았다.
목회데이터연구소(이하 연구소)는 얼마 전 발표된 한국기독교목회자협의회(한목협)의 ‘2023 한국인의 종교생활과 신앙의식 조사’의 주요 결과를 5일 소개했다. 해당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9,182명으로 대상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종교인구는 불교 16.3%, 개신교 15.0%, 가톨릭 5.1%로 조사됐다. 전체 개신교 인구는 불교에 이어 2위지만, 29세 이하와 30·40대에선 각각 11.0%, 14.6%, 17.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 연령대의 타종교인 비율은 불교가 3.5%, 4.7%, 10.4%였고, 가톨릭은 4.5%, 4.9%, 4.8%였다.
연구소는 “연령별로 보면 20~30대 개신교 인구 비율은 10% 초반대로 평균보다 낮지만, 타 종교보다는 상대적으로 높은 특징을 보였다”고 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이는 종교인 내에서의 개신교인 비율에서 좀 더 명확히 드러난다. 종교인을 기준으로 개신교 점유율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 57.9%, 30대 60.3%다. 연구소는 “2030 MZ세대의 경우 개신교가 전체 종교 중 거의 6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연구소는 “이는 다음 세대로 가게 될 경우 한국 종교 중 개신교가 지배적인 종교가 될 것을 암시하고 있다”며 ”따라서 앞으로 종교인구가 줄고 개신교 인구 또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미래 사회의 부패를 막고 건강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해서라도 현재의 교회학교 학생 한 사람, 청년 한 사람을 기독교 사상과 가치관으로 무장된 사람으로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고 했다.
◆ 개신교인 비율, 10년 뒤 10.2%까지 감소할 수도
한편, 한목협의 올해 조사는 종교 실태에 대해 역대 다섯 번째로 진행된 것이다. 1998년 ‘한국교회의 미래를 준비하는 모임(한미준)’이 처음으로 했고, 2004년 한미준이 2차 추적조사를 실시한 후 2012년 한목협이 이 조사를 이어받아 2012년과 2017년, 그리고 올해까지 실시했다.
각 조사에서의 개신교 인구 비율 추이는 20.7%→21.6%→22.5%→20.3%→15.0%다. 이에 대해 연구소는 “전체 우리나라 인구 중 개신교인 비율은 2012년 22.5%에서 2022년 15.0%로 줄었고, 이 추세를 반영해 향후 10년 뒤를 예상하면 최악의 경우 10.2%까지 감소할 수 있다”며 “이 속도로 하락한다면 향후 10년 뒤에는 개신교인이 우리 국민 10명 중 1명에 불과하다는 추론”이라고 했다.
©목회데이터연구소 연구소는 “개신교인은 왜 이렇게 감소하고 있을까? 먼저 과거 개신교인이었다가 현재 무종교인이 된 이유를 보면 ‘종교에 관심이 없어서’가 35%, ‘기독교에 대한 불신과 실망’이 29%로 각각 1위, 2위 이유였다”며 “즉 종교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 인식의 저하, 기독교의 행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개신교 하락의 주원인이었다”고 했다.
연구소는 “그런데 이런 원인은 다른 종교도 마찬가지이다. 무종교인의 비신앙 이유 결과를 보면 가장 큰 이유가 ‘종교에 관심이 없어서’(40%)이고, 그다음이 ‘종교에 대한 불신과 실망’(28%)이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 결과만을 놓고 보면 우리가 아무리 교회 이미지를 좋게 하여도 종교적 무관심을 극복하지 못한다면 개신교인 인구의 하락 속도를 둔화시킬 수 있을지언정 하락 자체를 막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고 했다.
2030 MZ세대 종교인 중 개신교가 거의 60%
한국교회 내 ‘다음 세대 위기론’은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니다. 젊은 세대가 점점 교회를 떠나고 있다는 위기의식이 팽배해 있는데, 국내 주요 타종교와 비교했을 땐 젊은 세대에서 개신교
www.christiandaily.co.kr
'교단·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칼빈대 내년 신학과 신입생, 졸업 때까지 학비 무료 (0) 2023.09.15 “세계적 복음 전도자” 故 조용기 목사 2주기 추도예배 드려 (0) 2023.09.15 영화 ‘프리 철수 리’ 감독 “처음부터 목표는 한국 개봉” (0) 2023.09.15 “신약성경, ‘동성애’를 ‘우상숭배’로 연결지어 규정해” (0) 2023.09.14 ‘재선’ 황덕형 박사, 서울신대 총장 취임 “위기를 도약의 디딤돌로” (0) 2023.0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