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전환 후 강제전역’ 故 변희수 전 하사 순직 인정 논란교단·단체 2024. 4. 12. 14:09
위법 판결된 강제전역 인한 우울증, 사망 주원인 판단
“다른 군인들 박탈감… 중앙전공심사위 실체 불분명”故 변희수 전 육군하사 ©뉴시스 성전환수술을 받아 강제전역 조치된 후 극단적 선택을 한 故 변희수 전 하사의 순직이 인정됐다. 그러나 매우 이례적인 경우라는 반응도 나오면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독립 의사결정 기구인 중앙전공사상심사위원회는 지난달 29일 변 전 하사 사망에 대해 심사한 후 이 같이 결정했고, 국방부는 이를 수용한 것으로 4일 알려졌다. 지난 2022년 12월 육군이 내린 ‘일반 사망’ 결정이 뒤집힌 것이다.
심사위는 변 전 하사 사망에 개인적 요인이 일부 작용했으나 법원에서 위법하다고 한 강제전역 처분으로 인해 발병한 우울증을 주된 원인으로 판단했다.
변 전 하사 사망은 3가지 순직 유형 중 ‘순직 3형’으로 결정됐다. 국민의 생명·재산 보호와 직접 관련이 없는, 직무수행 중 사망한 것에 따른 것이다. 이로써 국립묘지 안장이 가능하고 심사를 거쳐 국가유공자로 인정되면 보훈연금도 지급될 수 있다.
지난 2017년 단기 복무 부사관으로 임관한 변 전 하사는 성전환을 이유로 2020년 1월 23일 강제전역 처분을 받았다. 당시 군 당국은 변 전 하사의 신체적 변화가 ‘심신장애 3급’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후 변 전 하사는 ‘여군으로 계속 복무하고 싶다’며 강제전역 처분 취소를 요구하는 행정소송을 제기했다. 소송이 진행 중이던 2021년 3월 3일 숨진 채 발견됐다.
사망 7개월 뒤인 그해 10월 대전지법 제2행정부는 원고 승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변 전 하사는 수술을 마친 후 청주지방법원에서 성별정정을 허가받아 여성으로 봐야 하기 때문에 전역 처분 당시 군인사법상 심신장애 여부 판단도 여성 기준으로 봐야 한다”고 했다. 이후 육군이 항소하지 않으면서 이 판결이 확정됐다.
그러나 변 전 하사에 대한 순직 결정을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도 나온다. 주요셉 목사(반동성애기독시민연대·자유인권실천국민행동 공동대표)는 “남자로 입대했다가 성전환 수술을 받은 뒤 여군으로 인정해달라고 하는 것은 전례도 없고 군 질서상 허용될 수 없는 것”이라며 “이번 순직 인정으로 다른 군인들은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고 했다.
주 목사는 또 “순직 결정을 한 중앙전공사상심사위원회의 실체가 불분명하다. 인적 구성이 어떻고, 심사 과정이 어떠했는지 알기 어렵다”며 “이런 곳의 결정을 국방부가 그대로 수용했다는 것도 동의할 수 없다. 이는 국민들을 기만하는 것으로 즉시 철회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성전환 후 강제전역’ 故 변희수 전 하사 순직 인정 논란
성전환수술을 받아 강제전역 조치된 후 극단적 선택을 한 故 변희수 전 하사의 순직이 인정됐다. 그러나 매우 이례적인 경우라는 반응도 나오면서 논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방부 독립 의사결
www.christiandaily.co.kr
'교단·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앙 위해 자유민주 수호”… 한기총, 총선 앞두고 기도대성회 (0) 2024.04.12 “모든 종류 낙태 반대” 답한 총선 후보는 누구? (0) 2024.04.12 기성, 목사 94명 배출… “성결의 힘으로 나아가자” (2) 2024.04.12 ‘생명존중’ 주제로 열렸던 제2기 예수학교 성료 (0) 2024.04.11 기감 최대 중부연회, 퀴어신학 이단 규정안 총회 제출키로 (0) 2024.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