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하버드대, 신임 교목에 무신론자 임명국제 2021. 9. 1. 13:03
하버드대학교 교목으로 임명된 그렉 엡스타인. ⓒLinkedIn 미국 하버드대학교가 교목으로 무신론자를 선출했다고 영국 크리스천투데이가 최근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하버드대 성직자협회는 무신론자인 그렉 엡스타인(Greg Epstein)을 교목으로 임명했다. 베스트셀러인 ‘하나님이 없는 선’(Good Without God: What Billion Nonreligious People Do Believe)의 저자인 그는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다.
그는 “우리가 서로의 해답이기 때문에, 인간이 해결책을 얻기 위해 하나님께 의지해서는 안 된다”고 믿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엡스타인은 2005년부터 ‘휴머니스트 목사’였으며, 과거 학생들이 하나님이 아닌 서로에게 집중하도록 격려해 온 인물이라고 한다. 엡스타인의 공식 페이지는 그를 ‘휴머니스트 운동의 대부’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기독교, 유대교, 불교를 포함한 다양한 종교에서 온 40명의 교목으로 구성된 하버드대학 팀을 이끌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자신의 트위터에 이번 인사와 관련 “어떤 종교적 전통에도 더 이상 동조하지 않지만, 여전히 선한 인간이 되고 윤리적인 삶을 산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의와 지지가 필요한 이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하버드 광장에서 매주 인문주의자와 무신론자를 위한 세속적 설교를 주도했으며, 2018년 대학간 연계 활동에 집중하기 위해 이를 그만뒀다. 현재 MIT에서 목회자로도 활동 중이다.
앱스타인은 개인적·종교적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에게 종종 조언을 해주고 있는데,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NYT)는 그의 철학에 끌리는 일부 학생들을 ‘종교 난민’, 즉 종교적인 가정에서 자랐지만 이전보다 덜 엄격한 방식의 ‘영적인 의미’를 찾아 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이라고 특징짓기도 했다.
카리스마뉴스는 “1600년대 초 하버드대에는 기독교적 토대가 있었지만, 하나님 말씀의 권위에 대한 개념이 세속적 관점에 의해 점차 약화돼 왔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하버드 크림슨의 2019년 여론조사 결과, 재학생들이 스스로를 무신론자이거나 무신론자일 가능성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18세 일반인들의 2배에 달했다.
이 가운데 약 21.3%는 불가지론자, 16.6%는 무신론자로 밝혀졌다. 개신교인 또는 가톨릭교인으로 확인된 학생들의 비율은 각각 17%와 17.1%로 거의 비슷했으며, 유대인 10.1%, 무슬림 2.5%, 힌두교인 3%, 기타 12%로 나타났다.
“WEA, 역사 깊은 건전한 복음적 국제 연합기구”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명예교수들인 김성태(선교학)·박용규(교회사)·이한수(신약신학) 교수가 31일자로 “세계복음주의연맹(WEA)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발표했다. 이들은 입장문에서 “세계
www.christiandaily.co.kr
'국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 폼페이오 전 장관 “아프간 기독교인, 집단 학살될 가능성” (0) 2021.09.03 美 LA카운티, 예배 제한한 교회에 합의금 4억여 원 지불해야 (0) 2021.09.02 “‘탈레반이 기독교인 살해하고 있다’는 소문, 과장된 것 아냐” (0) 2021.08.31 ‘이슬람 국가’ 아프간 난민 수용, 괜찮을까? (0) 2021.08.25 탈레반이 삼킨 아프간, 미 복음주의 지도자들의 반응은? (0) 2021.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