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권위는 “혐오표현”… 여론조사선 “표현의 자유” 우세사회일반 2021. 12. 22. 11:19
◆ 안철수 후보 발언: “표현 자유” 49.7% VS “혐오표현” 31.6%
©동반연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 후보가 지난 2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열린 TV토론에서 “퀴어축제를 거부할 수 있는 권리도 존중받아야 한다”는 취지로 한 발언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는 “혐오표현”으로 판단했지만, 최근 한 여론조사에서 응답자의 거의 절반은 “표현의 자유”라고 답했다.
동성애동성혼반대국민연합(동반연)은 오피니언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14일 전국 만18세 이상 성인 남녀 1,070명을 대상으로 ‘표현의 자유’에 대한 의견을 조사해 20일 그 결과를 발표했다.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
이에 따르면 위와 같은 안 후보 발언에 대해 “표현의 자유”라는 응답이 49.7%를 차지했다. “혐오표현”이라는 응답은 31.6%, “잘 모르겠다”는 18.7%였다.
◆ 서울 공무원 성명: “표현 자유” 46.7% VS “혐오표현” 34.8%
또 서울시 일부 공무원들이 서울광장에서의 퀴어축제 개최를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한 것에 대해서도 “표현의 자유”라는 응답이 46.7%로 가장 큰 비율을 보였다. “혐오표현”이라는 응답은 34.8%였고, “잘 모르겠다”는 18.5%로 나타났다. 국가인권위는 이 같은 성명에 대해서도 “혐오표현”이라고 판단했었다.
◆ 동성 키스 삭제: “옳다” 59.8% VS “혐오에 의한 차별” 28.5%
아울러 한 지상파 방송사가 영화를 방영하면서 동성 간 키스 장면을 삭제한 것에 대해서는 “부적절한 장면이므로 삭제하는 것이 옳다”는 응답이 59.8%, “혐오에 의한 차별이므로 삭제하지 말아야 한다”는 응답이 28.5%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11.7%였다. 국가인권위는 해당 사안에 대해 차별일 수 있다는 취지로 판단했다.
◆ 인권위 혐오 여부 결정 권한: “축소” 58.2% VS “확대” 24.1%
©동반연 응답자들은 이 같은 국가인권위의 혐오 여부 결정 권한에 대해 가장 많은 58.2%가 “축소해야 한다”(대폭 28.7%+어느 정도 29.5%)고 답했다. “확대해야 한다”(대폭 10.7%+어느 정도 13.4%)는 응답은 24.1%에 불과했으며, “잘 모르겠다”는 17.7%였다.
◆ 차금법 토론회 구성 적절 52.7% 트젠 광고 중단 부당 49.3%
한편, 차별금지법 제정 문제와 관련한 토론회에 찬성 측 5명, 반대 측 5명으로 토론자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적절한 구성”이라는 응답이 52.7%(매우 19.2%+어느 정도 33.5%), “부적절한 구성”이라는 응답이 25.6%(매우 9.1%+부적절 16.5%)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21.8%였다.
©동반연 생물학적으로 남성인 트랜스젠더가 여자 화장실에 들어가는 모습을 담은 전광판 광고에 대해, 지자체가 트랜스젠더 혐오라는 이유로 중단하도록 요청한 것에는 “부당하다”는 응답이 49.3%(확실히 26.6%+어느 정도 22.7%), “정당하다”는 응답이 37.9%(확실히 18.9%+어느 정도 19.0%)로 나타났다. “잘 모르겠다”는 12.8%였다.
이 밖에 대법원과 헌법재판소가 “동성 간 성행위는 객관적으로 일반인에게 혐오감을 일으킨다”는 판결을 한 것에 대해서는 그 같은 판결이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가 50.8%, “변경되어야 한다”가 35.9%, “잘 모르겠다”가 13.3%였다.
'사회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구 이슬람 사원 건축 소송 2심 간다… 주민들이 항소 (0) 2021.12.27 법원, 불교계의 “캐럴 캠페인 중단” 가처분 신청 기각 (0) 2021.12.23 ‘백신패스’ 반대 집회 열려… 종교시설에도 적용될까? (0) 2021.12.15 올해 정기국회, ‘차별금지법안’ 다루지 않고 9일 종료 (0) 2021.12.10 “확진자 정죄, 코로나 극복에 전혀 도움 안돼” (0) 2021.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