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왜 이곳까지 와서 목숨을… 갚을 수 없을 빚 졌다”
    교단·단체 2021. 7. 2. 11:21

    한국교회연합(대표회장 송태섭 목사, 이하 한교연)이 지난 6월 30일 경기도 파주와 연천 일대 6.25 격전지를 순례하는 ‘상기하자 6.25 한국전쟁 격전지 탐방’ 행사를 가졌다.

     

    한교연이 호국보훈의 달을 기념해 마련한 이날 행사는 한교연 임원 등 40여 명이 참가해 하루 동안 △임진각 임진강 독개다리 전투 전적지 △북한군 중공군 묘지 △고랑포전투 역사문화 전시관 △유엔군 화장터 △영국군 설마리 전투 추모공원을 돌아봤다.

     

    임진각 독개다리

    한교연 탐방단이 임진각 독개다리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교연

    처음 찾아간 곳은 경기도 파주 임진각 내에 있는 독개다리. 이곳은 6.25 전쟁 때 끊어진 다리로 최근에 일부를 복원해 입장료를 받고 개방하고 있다. 전쟁 이전에 독개다리를 건너던 열차의 내부를 ‘평화’를 콘셉트로 재구성한 공간과, 다리 복원구간으로 나뉜다.

     

    복원한 다리는 아래를 볼 수 있게 투명바닥으로 만들어 6.25 전쟁 당시 총탄자국도 볼 수 있게 했다. 다리 끝부분은 전망대처럼 비무장지대 북쪽을 볼수 있게 했다. 다른 중간 부분은 촬영이 금지돼 있으나 이곳은 북쪽을 향해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한교연은 “독개다리는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현실과 6.25 전쟁의 모습을 직·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는 역사교육의 현장”이라고 했다.

     

    북한군 중공군 묘지

    북한군 중공군 묘지를 찾은 한교연 탐방단 ©한교연

    이번 한교연 측이 탐방한 6.25 한국전쟁 격전지들 중에는 특히 그동안 거의 알려지지 않은 북한군과 중공군 묘지와 유엔군 화장터 시설 등이 포함돼 있어 눈길을 끌었다.

     

    한교연은 “특히 6.25 전쟁 중에 전사한 북한군과 중공군 유해를 전쟁이 끝난 후 수습해 안장한 이 묘지는 우리 정부가 제네바 협정과 인도주의 정신에 따라 1996년 6월에 묘역을 조성한 곳으로 중공군은 중국과 수교 후 모두 자기 나라로 이장됐으나 북한군 유해는 그대로 남아 전쟁의 또 다른 비극과 아픔을 다시금 새기게 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군 화장터

     

    유엔군 화장터 시설은 연천군 등록 문화재 제408호로 지정돼 있으나 차도에서 약 100미터 정도 떨어진 외진 곳에 위치해 있다. 한교연에 따르면 이곳은 상세한 설명을 한 표지판 하나 없이 잡초 위에 듬성듬성 유해 화장에 쓰인 듯한 굴뚝터와 외벽 정도만 남아 있다. 한교연은 “일부러 찾아와도 찾기가 쉽지 않은 곳”이라고 했다.

     

    이곳은 6·25 전쟁 때 서부전선 전투에서 사망한 유엔군 전사자들의 시신을 화장하려고 건립된 화장장 시설로 돌과 시멘트로 쌓은 10여m 높이의 굴뚝과 화장 구덩이로 이루어져 있다. 경기도 연천지역은 백마고지 전투, 철의 삼각지 등 고지쟁탈전이 치열해 유엔군 희생자들이 많이 발생한 지역이다. 그런 만큼 유엔군 전사자들이 많아지자 1952년 이곳에 화장장 시설을 만들어 휴전 직후까지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교연은 “수없이 쏟아져 나오는 유엔군 시신을 처리하기 위해 화장장을 별도로 건립해야 할 정도였다는 것은 서부전선의 전투가 얼마나 치열했는가를 증언해 주고 있다”며 “6.25 전쟁 당시의 화장장 시설로는 유일하게 남아있는 유적으로 6·25 전쟁사에 있어 유엔군 참전 상황에 대한 실증적 자료이며 생생한 현장인 이곳이 찾아오는 이 없이 쓸쓸하게 잡초에 묻혀 있다는 것만으로도 모두의 가슴을 아프게 했다”고 안타까워 했다.

    6.25 한국전쟁 당시 유엔군 화장터를 찾은 한교연 탐방단 ©한교연

    한교연 탐방단은 이곳에서 잠시 눈을 감고 아무 연고도 없는 한국전에 뛰어들어 자유와 평화를 위해 고귀한 목숨을 바친 이름 없는 유엔군 병사들을 추모하며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

     

    대표회장 송태섭 목사는 “말로만 듣던 이곳에 직접 와보니 더욱 가슴이 아려온다”며 “이들도 누구의 귀한 자식이었을텐데 왜 이곳까지 와서 목숨을 바쳐야 했는지 우리 국민 모두 갚을 수 없을 빚을 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국전쟁이 왜 일어났는지, 왜 남북이 분단된 채로 우리가 기도해도 하나님이 응답하지 않으시는지 알아야 한다. 일제시대 신사참배를 한 죄에 대해 한국교회는 회개하고 통렬히 반성하지 않았다. 8.15 광복을 감사와 은혜로 여기지 않고 좌우로 나뉘어 싸우고 대립했다. 한국교회는 이런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 앞에 겸손히 엎드려야 한다. 그래야만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이 없고, 남북 통일도 하나님의 방법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랑포구 역사공원 전시관

    고랑포구 역사공원 전시관 앞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한교연 탐방단 ©한교연

    그 다음 찾아간 곳이 연천군 고랑포구 역사공원 전시관이다. 이곳 고랑포구는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로 임진강을 통한 물자교류 중심역할을 하던 나루터였다. 1930년대 개성과 한성의 물자교류를 통해 화신백화점의 분점이 자리잡을 정도로 번성했으나 한국전쟁과 남북분단으로 쇠락했다. 이곳이 유명해진 것은 1.21 무장공비 침투사태 때 무장공비의 침투로였기 때문이다.

     

    고랑포구 역사공원 전시관 앞에는 포탄을 몸에 두르고 힘차게 달리는 말의 형상이 조형물로 세워져 있다. 이 말은 한국전쟁에 군마로 차출돼 이곳 고랑포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전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말은 한국 경마장에서 ‘아침해’라는 이름의 경주마로 있다가 1952년 미국 해병대에 차출돼 전투에 투입되면서 ‘레클리스’라는 이름이 지어졌다. 특히 1953년 경기도 연천에서 해병대와 중공군과의 전투에서 투입돼 혼자 하루에 약 51차례 탄약을 실어 날랐으며, 이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으로부터 무공훈장 5개를 받고 하사로 진급했다.

     

    백선엽 대령의 고랑포전투

     

    한교연은 “이곳 고랑포가 6.25 전쟁에서 큰 의미를 차지하는 것은 당시 고랑포-청단간의 서부 38도 분계선 지역 경비 임무를 수행하던 1사단 사단장 백선엽 대령이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북한군의 기습 남침 공격을 받으면서 북한군 2개 사단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열세한 전력으로 한강 이북의 북한군 침투를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4일간이나 저지시킴으로써 미군이 참전할 때까지 시간을 벌어준 데 커다란 의의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영국군 설마리 전투추모공원

    영국군 설마리 전투추모공원을 찾은 한교연 탐방단 ©한교연

    마지막으로 찾아간 곳이 파주 감악산 인근에 위치한 영국군 설마리 전투추모공원이다. 이곳은 6.25전쟁 당시 맥아더 장군의 인천상륙작전 성공으로 두만강까지 밀고 올라간 국군과 미군이 중공군의 개입으로 서울이 재함락될 위기에 처했을 때 이곳 설마리에서 영국군 글로스터 연대의 1대대와 제170박격포대 장병들이 사생 결단으로 저항을 함으로써 수도방어 구축에 재정비할 시간을 벌어준 공적을 기념해 조성된 공원이다. 전쟁이 끝난 후인 1957년에 보병 25사단에 의해 ‘영국군 설마리 전투비’가 건립됐고 이후 경기도와 파주시가 추모공원을 조성했다.

     

    한교연은 “추모공원 안쪽 산 기슭에 위치한 전투비를 보러 가는 길에 개천을 지나는 작은 다리를 건너면 글로스터 연대의 제1대대를 지휘했던 ‘칸 중령’의 십자가 탑이 있다”며 “영국군 글로스터 연대의 제1대대장 칸중령이 포로생활 시에 이 십자가를 만들어 예배드린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당시 영국군 글로스터 연대의 제1대대 병력이 652명이었는데 4일간의 혈투 속에서 중공군의 포위를 뚫고 탈출한 병력은 불과 67명에 불과했고, 59명이 전사했으며 526명이 중공군의 포로가 됐다고 한다”며 “이때 제1대대를 지휘했던 칸 중령도 최후까지 싸우다가 끝내는 중공군의 포로가 됐다”고 덧붙였다.

    칸 중령의 십자가 탑 ©한교연

    댓글

Designed by Tistory.